2022년/2022_경제&재테크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③] 인버스, 곱버스, 레버리지

달달한 날 2022. 11. 19. 16:34
728x90

오늘도 역시 주린이에게 도움이 될만한 주식 용어를 세 가지 인버스, 곱버스, 레버리지 이렇게 가져 왔습니다. 너무 쉬운 단어라고 생각하실 수 도 있겠지만, 주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인버스란? 인버스는 말 그대로 정반대라는 뜻이에요. inverse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역의, 정반대 라고 나옵니다. 이를 주식에 적용하면 특정주가지수의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익이 나는 구조를 뜻합니다. 주가가 떨어저야 돈을 벌게 된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지수가 2프로 올라가면 2프로 손실이 나게 되는 형식입니다. 반대로 코스피가 2프로 하락하면 2프로 수익을 얻게 되는 것이죠. KODEX인버스, TIGER 인버스, KINDEX인버스 등등이  ETF가 대표적인 상품으로 많이들 알고 계시죠. 코로나가 터지면서 주식 시장이 하락할 것을 예측하고 바로 이 인버스ETF에 투자를 하셨던 분들은 정말 많은 돈을 버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곱버스란?  곱하기 인버스를 줄여서 곱버스라고 하는데요. 주가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주는 상품이 인버스라면 이때 가격 변동푹이 2배가 되어 움직이는 상품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수익이 난다면 2배의 수익이 나는 것이고, 손실이 난다면 2배의 손실이 나는 상품입니다. KODEX200선물 인버스 2X ETF가 바로 대표적인 상품인데요. 이 상품은 거래 대금 1위에 오른적이 있는 걸 봐서 자산가치가 계속 하락하고 있었음을 뜻합니다. 사람들이 하락을 예견하고 이렇게 인버스 제품을 살 때에는 그만큼 경제가 안좋아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니까요. 만약 곱버스 상품을 사고 싶으시다면 검색에 곱버스라고 치시면 안나오고, 인버스 2x라고 치셔야 나옵니다.

레버리지란? 레버리지는 사전적의미로 지렛대를 말합니다. 지렛대는 작은 힘으로 무거운 것을 올릴 수 있죠? 주식에서 이 지렛대는 지수가 상승했을 때 2배로 수익이 나는 상품을 말합니다. 하락한다면 당연히 2배로 하락을 한다는 말이겠죠. 부동산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요. 자기자본과 부채를 이용하여 수익을 극대화 할 수있을 때 사용한다고 하네요. 금, 선물, 플래티넘 등 종류도 다양하며 많이 드어본 구리나 아연등 현물 등의 가격 또한 선택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인버스 곱버스 레버리지를 알아봤는데요. 주식은 공부를 하면서 해야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이런 곱버스나 레버리지 ETF 같은 경우에는 손실이 났을 때 너무나도 많은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은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의 주식 투자는 기업에 가치를 보고 투자하고, 장기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주식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