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린이에게는 어려운 용어들인데요. 하루에 하나 씩이라도 기억한다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세 가지를 알아보기 전에 주식거래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3 영업일입니다. 3 영업일 시스템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주식은 오늘 매수를 하면 오늘 모든 금액이 결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3 영업일 즉 3일이 지난 후에 결제가 됩니다. 주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수를 하는 즉시 매도를 하는 즉시 돈이 나가고 들어오는 게 아니라 3일이라는 시간 후에 매수 매도가 진행되어 금액이 확정됩니다. 이 의미에 대해서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예수금이란? 주식거래 등을 위해 나의 증권 계좌에 들어가 있는 돈을 말합니다. 이 돈은 주식을 매매하거나 증거금 등으로 사용하게 되는 돈입니다. 한국의 주식시장은 3 영업일 이후에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종목을 매수한 후에 거래일, 그다음 날, 그리고 그다음 날 (결제일)의 정보를 한꺼번에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쉽게 설명한다면,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서 미리 넣어둔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니다.
미수금이란? 미수금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3 영업일까지 주식을 매수한 금액이 납입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일종에 외상금입니다. 주식은 예수금으로 넣어둔 돈이 없더라도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를 미수거래라고 합니다. 만약 3 영업일이 되기 전에 부족했던 돈을 채워서 입금해 두어야 최종적으로 그 주식을 사게 되는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미수금으로 남게 됩니다. 미수금이 발생하면 증권사에서는 이 돈을 받기 위해서 4 영업일이 되는 날에 투자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주식을 강제로 처분합니다. 이를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미수금을 받기 위해서 매수 금액보다 낮은 가격이더라도 무조건 적으로 매매가 퇴기 때문에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는 점을 꼭 명심하시고 미수금은 최대한 없게 하는 게 좋습니다.
증거금이란? 증거금은 주식을 매수할 때 전체 매수금액 중 내가 미리 내야 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보증금의 개념과 비슷합니다. 증거금률은 종목별로 다양하게 설정되어 잇고, 같은 종목이라도 증권사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는 지금 돈이 없는 사람에게 주식을 사고팔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보증금의 개념으로 증거금을 설정한 것입니다. 만약 증거금이 20프로인 종목이 있다면, 100만 원어치를 매수하고 1 영업일에는 증거금률 20프로에 따라 20만 원이 증거금으로 출금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80만 원이 3 영업일에 빠져나갑니다. 이때 3 영업일에 빠져나갈 돈이 없으면 그 돈은 미수금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도 다른 내용으로 같이 공부하자고요.
728x90
'2022년 > 2022_경제&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 ④] 불마켓, 베어마켓, 블랙스완, 화이트스완, 그린스완 (14) | 2022.11.22 |
---|---|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③] 인버스, 곱버스, 레버리지 (16) | 2022.11.19 |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①] PER, PBR, EPS (30) | 2022.11.13 |
2023년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월 70만원 납입해서 5천만 원,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 (26) | 2022.11.10 |
[부모급여] 2023년도 신설 부모급여 신청방법, 아동수당 총 정리 (6) | 2022.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