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하루하루/나의 일상들

자진 퇴사에도 실업급여 받는 방법!

by 달달한 날 2023. 1. 6.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진 퇴사를 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경우라면 자진퇴사라고 하더라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성립됩니다.

-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임금체불이 있는 경우
- 이직 전 1년 이내에 2개월 이상 주 52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한 경우
-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거나 성희롱, 성폭력 등 성적인 괴롭힘을 당한 경우
- 사업장 이전, 전근 등으로 출퇴근이 왕복 3시간 이상이 되어 통근이 곤란해진 경우
- 부모나 동거 친족의 질병·부상 등으로 30일 이상 본인이 간호해야 하는 기간에 기업의 사정상 휴가나 휴직이 허용되지  않아 이직한 경우
- 임신, 출산,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의 육아로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로서 사업주가 휴가나 휴직을 허용하지 않아 이직한 경우
- 업무상 재해 등 질병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업무의 전환이나 휴직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 질병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업무의 전환이나 휴직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위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다면?

- 계약 만료로 인한 실업급여

-> 1년 6개월 안에 180일 이상 근무한 이력이 있다면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고 나서 전 직장에 이직확인서를 요청하면 끝

-그렇다면 어떤 단기 아르바이트를 해야할까?

1. 고용보험 가입

2. 근로계약서 작성

3. 1개월 이상 상용직

4. 주 15시간 이상 근무

위와 같이 4가지를 충족하는 알바를 해야 합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